환경단체와 새만금 사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03:31
본문
Download : 환경단체와 새만금 사업.hwp
간척농지 조성으로 사라지는 천혜의 갯벌은 그 무엇으로도 되찾을 수 없는 것이며 천혜의 자원을 파괴한 자리에 들어서는 생태농업이란 과연 존재하는 것인가? 서산AB지구 간척농지에서 이루어지는 농법은 대규모 농지에 적합한 기계농과 화학농법으로, 주위의 자연environment(환경) 과 조화를 이루며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고 사람의 보살핌을 중심으로 하는 생태농업은 대규모 간척농지에서 불가능하다고 본다.
새만금 간척사업과 환경단체의 운돋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환경단체와새만금사업
순서






다.
지역 천혜의 자원을 현명하게 이용하면서 未來(미래)세대들에게 그 자원을 계속해서 물려줄 수 있을 때 진정한 의미의 지속 가능한 개발이 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새만금 종합개발사업은 그 사업이 계속되어야 하는지를 면밀하게 따져보는 타당성 검토를 다시 해야 하며 이는 사업 시행주체만의 몫이 아니라 민간단체,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검토가 되어야 한다.
특히 개발의 욕구를 앞세워 매립한 땅위에 대규모공장을 유치할 계획을 세우고 있는 전라북도는 간척농지에 대한 기대는 전혀 없는 것으로 보여진다. 환경단체와새만금사업 , 환경단체와 새만금 사업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환경단체와 새만금 사업.hwp( 20 )
환경단체와 새만금 사업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레포트/의약보건
Ⅰ. 서 론 ·1
Ⅱ. environment(환경) 문제에 대한 environment(환경) 단체의 대응방안(方案)
1. environment(환경) 단체들의 활동방법 ·2
예) 북한산 관통도로 건설저지를 위한 시민(市民)연대 ·3
예) 송전탑 건설 반대활동 ·4
2. environment(환경) 운동의 유형화 ·6
3. environment(환경) 운동의 전제사항 ·7
4. environment(환경) 단체 활동의 problem(문제점) ·8
Ⅲ. 새만금 간척사업과 관련한 민간environment(환경) 단체의 활동
1. 갯벌의 중요성 ·8
1) 갯벌의 형성 ·9
2) 갯벌의 중요성 ·9
2. 새만금 간척사업이 중단되어야 하는 이유 ·11
1) 생명과 조화의 땅, 갯벌을 살리기 위해 새만금 간척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 ·12
3) 새만금호 수질오염 해결책은 근본적으로 불가능 하기 때문에 중단되어야 한다. 갯벌의 가치를 경제적으로 고려했을 때 사업의 타당성이 있는지, 갯벌매립으로 파괴되는 갯벌의 가치를 어떻게 복원할 것인지, 담수호 수질improvement을 위한 기술과 예산을 충분하…(skip)
새만금 간척사업과 환경단체의 운돋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15
3. 새만금 간척사업 중단에 대한 government 의 입장, 태도 ·16
1) government 의 입장, 태도 및 비판 ·16
2) environment(환경) 운동연합의 government 에 대한 권고 ·18
4. 민간environment(환경) 단체의 활동 노력 ·19
1) Wetland International ·19
2) Japan의 상황 ·19
3) 우리나라 environment(환경) 단체의 노력 ·20
Ⅳ. 결 론 ·23
4) 새만금 간척사업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대규모 자연생태계를 파괴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발상은 이미 구시대적인 유물이 되고 있다 개발과 보전의 조화는 구호로만 내세울 화려한 미사여구가 아니다.
새만금 종합개발사업은 전라북도 지역의 90%이상의 갯벌을 파괴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사업으로 많은 problem(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새만금 종합개발의 시행주체인 농림부는 갯벌의 파괴로 오는 손실과 environment(환경) 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생태농업과 생태마을을 조성하겠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지만 이것이 올바른 대안이 될 수 없다. ·11
2) 경제성이 없는 간척사업으로 국민의 세금이 낭비되고 있는 새만금 간척사업은 중단되어야 한다. ·13
4) 새만금 간척사업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지금 대규모 공장을 유치하기 위하여 조성한 대불공단과 같은 공단은 공장이 불하되지 않은 채 허허벌판이 되고 있는 실정인데 과거 개발방식을 답습하는 것은 장기적인 지역경제를 展望(전망) 하지 못하는 발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