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er.kr [new] ●된장 > folder2 | folder.kr report

[new] ●된장 > folder2

본문 바로가기

folder2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new] ●된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21:59

본문




Download : ●된장.hwp




넷째, 선심(善心)-매운 맛을 부드럽게 한다.●된장 , ●된장기타레포트 , ●된장
순서

●된장

Download : ●된장.hwp( 96 )





●된장,기타,레포트
●된장


설명



레포트/기타





●된장_hwp_01.gif ●된장_hwp_02.gif ●된장_hwp_03.gif ●된장_hwp_04.gif ●된장_hwp_05.gif ●된장_hwp_06.gif

된장의 定義(정이)
된장은 한국의 대표적인 장(醬)
메주로 간장을 담근 뒤에 장물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 메주에 소금물을 알맞게 부어 장물을 내지 않고 그대로 먹는 장.
된장의 `된`은 `되다(hard)`의 뜻이 있다아 된장은 옛부터 `오덕(五德)이라 하여 `첫째, 단심(丹心)-다른 맛과 섞어도 제 맛을 낸다. 다섯째, 화심(和心)-어떤 음식과도 조화를 잘 이룬다. 다만 China의 `삼국지 위지동이전(三國志 魏志東夷傳) `(290년경)을 살펴 보면 ‘고구려인은 장 담그는 솜씨가 훌륭하다’, ‘발해의 명물은 책성에서 생산되는 된장’이라는 기록이 나와 그 솜씨가 China에까지 알려졌음을 알 수 있다아
우리나라 역사(歷史)서 중에서 된장과 관련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사기의 기록인데 그 내용을 살펴 보면 신라 신문왕 3년(683년)에 왕이 왕비를 맞이하면서 폐백품목이 15수레 쌀, 술, 기름, 꿀, 포, 식혜를 비롯하여 간장, 된장 등이…(To be continued )


다. 둘째, 항심(恒心) -오랫 동안 상하지 않는다. 셋째, 불심(佛心)-비리고 기름진 냄새를 제거한다.`라고 하여,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 나라의 전통식품으로 구수한 고향의 맛을 상징하게 된 식품

된장의 역사(歷史)
장이라는 槪念이 처음 나타난 것은 기원전 3세기에 쓰인 China의 ‘주례’라는 문헌을 통해 알 수 있다아
장에는 ‘해’와 ‘혜’로 나눌 수 있다아 ‘해’는 짐승고기나 물고기를 가리지 않고, 이것을 햇볕에 말려서 고운 가루로 하여 술에 담그고 여기에 조로 만든 누룩과 소금을 잘 섞어 항아리에 넣고 밀폐하여 100일간 어두운 곳에서 숙성시켜 얻은 것이며, ‘혜’는 재료가 ‘해’와 같으나 청매즙을 넣어서 신맛이 나게 하는 것이다.
주례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 China의 장은 콩으로 메주를 쑤어 담그는 우리의 장과는 다른 식해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아
고기로 담근 China의 장과는 다르게 콩을 재료로 하여 만든 우리의 장文化가 언제부터 처음 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정확히 남겨져 있지 않다.
Total 6,741건 1 페이지

검색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folder.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folder.kr All rights reserved.